🧠 챗GPT는 알고 있는데, LLM은 뭐지?
요즘 많은 사람들이 챗GPT를 사용해보고, AI와 대화를 나누는 경험을 하고 있습니다. "와, 진짜 사람처럼 말하네!"라고 놀라면서도, "도대체 이게 어떻게 가능한 걸까?" "챗GPT는 무슨 원리로 작동하는 걸까?" 궁금해하곤 하죠.
챗GPT는 사실, LLM이라는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인공지능입니다. LLM, 즉 Large Language Model(초거대 언어 모델)은 사람이 쓰는 자연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도록 훈련된 초대형 AI 모델을 말합니다.
🤖 챗GPT만이 아니다: 다양한 LLM 사례들
LLM은 챗GPT만의 기술이 아닙니다.요즘 등장하는 다양한 언어 기반 AI들이 모두 자신만의 LLM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AI들은 모두 서로 다른 방식으로 훈련된 LLM을 사용해, 질문에 답하고, 글을 쓰고, 정보를 요약합니다. 즉, LLM은 다양한 언어 AI의 ‘두뇌’이자, AI 시대를 여는 핵심 기술인 셈이죠.
📱 스마트폰 자동완성과 🧠 LLM의 작동 방식은 비슷하다
LLM이 실제로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이해하려면, 우리에게 익숙한 ‘스마트폰 자동완성’을 떠올려보면 쉽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에게 메시지를 쓰다가 "오늘 저녁에 뭐…"라고 입력하면, 화면 아래에 이렇게 뜨죠:
이 기능은, 지금까지 당신이 자주 쓴 말,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자주 쓰는 문장 패턴을 기반으로 다음에 올 법한 말을 예측하는 것입니다.
LLM도 거의 똑같습니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규모와 정교함이 압도적이라는 점이죠.
🧠 진짜 AI가 나를 기억하는 걸까?
😮 “얘, 진짜 내 얘기 기억하네?”
챗GPT랑 며칠 대화하다 보면 이런 생각이 듭니다.
“헐, 지난번에 내가 말한 거 기억하네?”, “내가 좋아하는 스타일을 이제 아는 것 같아”, “설명 안 해도 바로 알아듣네!”
이쯤 되면 마음속에 이런 의문이 생기죠.
“얘, 설마… 진짜 나를 기억하고 있는 건가?”
하지만 슬프게도(?) 진실은 이렇습니다:
AI는 ‘기억 상실증’을 앓고 있는 천재입니다.
🧂 기억하는 것처럼 보이는 건 ‘꼼수’다
챗GPT는 본질적으로 기억을 못 합니다.
지금 당신과 대화하고 있는 내용도, 이 창을 닫는 순간 다 잊어버립니다. 한 마디로 “단기 기억 상실증” 환자인 셈이죠.
그런데도 왜 기억하는 것처럼 보일까요?
그건 아주 영리한 트릭이 작동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AI는 과거 내용을 기억하는 게 아니라, “지금까지 했던 말 전부를 동시에 바라보고 있을 뿐”입니다.
마치 시험 보기 직전에 벼락치기한 내용을 다 외운 상태로 친구랑 대화하는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시험 끝나면? 물론 다 까먹습니다.
🧠 그런데 왜 그렇게 똑똑해 보일까?
GPT는 단지 기억을 못 할 뿐이지, 당신이 무슨 말을 했는지, 어떤 맥락이 오고 갔는지를 통계적으로 놀랍도록 정교하게 파악합니다.
🏗️ 거대한 자동완성 기계: LLM의 원리
LLM은 수십억 개의 문서를 학습하며,“이런 문장 다음에는 어떤 단어가 자주 등장하는가?”를 통계적으로 익힙니다.
예를 들어:
이렇게 하나하나 단어를 이어 붙여 문장을 생성합니다. 이처럼 LLM은 철저하게 ‘다음에 올 말을 예측하는 기계’입니다.
✨ 실생활에서 활용되는 LLM
이렇게 정교하게 말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LLM을 활용해 다양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모두 다 "다음에 어떤 말이 올까?"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능력에서 시작됩니다.
🪄 마법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수학과 통계
이 모든 능력은 마치 마법처럼 보이지만,사실은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수학적 계산의 결과입니다.
LLM은 질문의 문맥, 표현의 뉘앙스, 대화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그럴듯한 응답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초지능 자동 완성 엔진’이라 할 수 있습니다.
🔍 그리고 중요한 질문: 그 말, 진짜 맞는 걸까?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
LLM은 우리가 원하는 말을 ‘그럴듯하게’ 해줄 수는 있지만,그 말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판단하지 못합니다.
때로는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매우 자연스럽게 말하거나,전혀 사실이 아닌 내용을 마치 진짜처럼 설명하기도 하죠.
이런 현상을 우리는 AI의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이라고 부릅니다.
📘 다음 편 예고: LLM의 한계, 'AI의 착각'
다음 편에서는 이 AI의 착각이 왜 발생하는지, 우리가 어떻게 조심스럽게 활용해야 할지를 깊이 다뤄보겠습니다.
[다음편] 할루시네이션의 올바른 이해